중석몰촉(中石沒鏃) ? 정신을 집중하여 모든 힘을 다하면 어떠한 일이라도 이룰 수 있다는
뜻.
中(중)에는
‘가운데’라는 뜻 외에 ‘맞다, 맞히다, 적중(的中)시키다’의 뜻도 있습니다. 중석몰촉(中石沒鏃)은 ‘돌에 맞추니 화살촉이 박히다’, ‘돌을
향해 쏘았더니 화살촉이 깊이 박히다’, ‘돌에 적중(的中)하여 화살촉이 깊이 박히다’라는 뜻 입니다.
‘정신을
집중하여 모든 힘을 다하면 어떠한 일이라도 이룰 수 있다’라는 뜻의 고사성어 입니다.
출전(出典):
- 사기(史記)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
- 사기(史記)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
요약(要約):
이광(李廣)은 중국 서한(西漢)시대에 흉노족(匈奴族)을 물리치는데 큰 공을 세웠던 명장(名將)이었습니다. 흉노족은 이광을 두려워하여 비장군(飛將軍)이라고도 불렀으며, 활을 잘 쏘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광(李廣)은 중국 서한(西漢)시대에 흉노족(匈奴族)을 물리치는데 큰 공을 세웠던 명장(名將)이었습니다. 흉노족은 이광을 두려워하여 비장군(飛將軍)이라고도 불렀으며, 활을 잘 쏘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날 이광이 사냥을 나갔는데, 수풀 속에 호랑이가 숨어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정신을 집중하고 모든 힘을 다하여 호랑이에게 활을 쏘았고, 화살이
적중(的中)하여 호랑이가 죽었다고 생각한 이광은 사냥감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가갔습니다.
그러나
가까이 다가가서 보니 화살이 꽂힌 것은 호랑이가 아닌 바위였습니다. 바위를 호랑이로 착각하였다는 것을 깨달은 이광은, 단단한 바위에 화살이 박힌
것을 신기하게 생각하여 다시 바위를 향해 화살을 쏘아보았으나, 두 번 다시 화살이 바위에 박히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중석몰촉(中石沒鏃)은
이광이 호랑이를 잡기 위하여 정신을 집중하고 모든 힘을 다하여 쏜 화살이 바위에 깊이 박혔다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사기(史記)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에는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원문(原文) / 해석(解釋):
廣出獵 見草中石 以?虎而射之.
광출렵 견초중석 이위호이사지.
이광(李廣)이 사냥을 나갔다가 풀숲 속의 돌을 보고 호랑이로 생각하여 돌을 쏘았다.
광출렵 견초중석 이위호이사지.
이광(李廣)이 사냥을 나갔다가 풀숲 속의 돌을 보고 호랑이로 생각하여 돌을 쏘았다.
中石沒鏃 視之石也.
중석몰촉 시지석야.
돌에 적중(的中)하여 화살촉이 깊이 박혔는데, 그것을 보니 돌이었다.
중석몰촉 시지석야.
돌에 적중(的中)하여 화살촉이 깊이 박혔는데, 그것을 보니 돌이었다.
因復更射之 終不能復入石矣.
인복갱사지 종불능복입석의.
그래서 거듭하여 다시 돌을 쏘았는데, 끝내 돌에 박히게 할 수 없었다.
인복갱사지 종불능복입석의.
그래서 거듭하여 다시 돌을 쏘았는데, 끝내 돌에 박히게 할 수 없었다.
廣所居郡聞有虎 嘗自射之.
광소거군문유호 상자사지.
이광이 사는 곳의 관청에 호랑이가 있다는 소문이 나면, 항상 몸소 호랑이를 쏘았다.
광소거군문유호 상자사지.
이광이 사는 곳의 관청에 호랑이가 있다는 소문이 나면, 항상 몸소 호랑이를 쏘았다.
及居右北平射虎 虎騰傷廣 廣亦竟射殺之.
급거우북평사호 호등상광 광역경사살지.
우북평(右北平)에 살았을 때는, 호랑이를 쏘았는데 호랑이가 달려들어 이광을 다치게 하였었으나, 이광은 끝내 호랑이를 쏘아서 죽였다.
射殺(사살): 총이나 활 등으로 쏘아서 죽이다.
급거우북평사호 호등상광 광역경사살지.
우북평(右北平)에 살았을 때는, 호랑이를 쏘았는데 호랑이가 달려들어 이광을 다치게 하였었으나, 이광은 끝내 호랑이를 쏘아서 죽였다.
射殺(사살): 총이나 활 등으로 쏘아서 죽이다.
'오늘의 敎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금택목(良禽擇木) (0) | 2018.12.19 |
---|---|
온고지신(溫故知新) (0) | 2018.12.18 |
목계지덕(木鷄之德) (0) | 2018.11.19 |
식마육불음주상인(食馬肉不飮酒傷人) (0) | 2018.11.19 |
우공이산 (愚公移山) 우보만리 (牛步萬里) (0) | 2014.07.29 |